본문 바로가기

초기 불교, 불교 역사, 불교 개념, 불교 공부

(20)
초기불교의 금욕주의 개념과 해석 초기불교의 금욕주의 개념과 해석 금욕주의는 내면의 욕구를 경계하고 가라앉혀서 그러한 욕구가 가라앉은 상태에 이르려는 종교적, 철학적 경향을 일컫는 말이 되겠습니다. 바로 이 금욕주의 또한 초기불교 당시 붓다의 주변에서 유행했던 사상적 경향이 되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불교 역시 일정 부분에서는 금욕적 색채를 띤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내면의 탐욕과 갈애로부터 발생하는 갖가지 괴로움을 다스리고 그 괴로움의 상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금욕적 태도가 필요하다. ' 바로 이 부분을 초기불교에서도 가르치고 또한 실천했습니다. 불교가 이러한 금욕적 색채를 갖는다고 했을 때, 불교에서의 금욕주의와 그때 당시 불교 이외의 다른 종파들에서 실천했던 금욕주의를 비교함으로써 불교라고 하는 종교적 색채를..
초기 불교의 가르침에서 유념해야 할 견해 초기 불교의 가르침에서 유념해야 할 견해 초기 불교의 가르침에서 반드시 유념해야 할 견해의 문제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견해(見, diṭṭhi)란 어떻게 발생하는가? 이것은 왜 필요하며 또한 이것에 수반되는 위험성은 무엇인가? 우리 인간은 동물과 달리 견해를 지닙니다. 여러 가지 험난한 인생의 여정에서 견해를 바로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른 견해는 나아가야 할 목적지를 분명하게 해 줍니다. 만약에 인간이 옳고 그름에 대한 분명한 견해가 없다면 동물적 본능만으로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바른 견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이유는 스스로를 바른 길로 이끄는 올바른 견해에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마음과 세계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마음과 세계 마음과 세계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초기불교에서 이야기한 '마음(心, citta)이란 과연 무엇이고 세계(世間, loka)란 과연 무엇인가?'는 굉장히 중요한 테마가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초기불교에서는 마음을 대상(所緣, ārammaṇa)에 반응하여 일으키는 내면의 인식과 정서, 이걸 마음으로 규정합니다. 더불어서 세계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 혹은 주변의 현상을 망라해서 세계라고 말합니다. 서구적인 사고에 친숙한 현대인들은 마음과 세계 이 둘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그들은 마음과 세계는 별도로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물리적인 세계는 마음과 무관하게 실재하며 바로 그것에 반응해서 내면의 마음이 발생한다. '는 것이 상식적인..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힌두교라고 하는 말은 일반적으로 인도(India, Hindu)에 뿌리를 둔 다양한 형태의 신앙적 복합체라고 설명을 합니다. 불교 또한 인도에서 출현했습니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 볼 때 불교를 힌두교의 범위 안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힌두교 추종자들은 붓다를 힌두교의 최고신인 비슈누(Viṣṇu) 신의 화신 (化身) 즉 아바타로 믿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힌두교의 범위는 고대 바라문의 경전인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고 그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적 신념들에 한정된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교와 같이 인도에서 출현했지만 다른 독자적인 실천의 길을 모색한 종교는 힌두교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비교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비교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현존하는 불교 전통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이 둘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비교 남방불교는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등에서 전해 내려온 불교입니다. 반면에 북방불교는 중국이라든가,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불교를 가리킵니다. 여기에 티베트와 몽골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온 불교를 또한 포함시킬 수도 있습니다. 남방불교는 스스로에 대해 상좌부 불교, 즉 테라와다(Theravāda) 불교 혹은 빨리어 문헌들에 기초해 있다고 해서 빨리(Pāli) 불교라는 이러한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고, 북방불교에서는 대승불교, 즉 마하야나(mahayāna)라고 하는 이름을 선호합니다. 한편 티베트에서는 스..
초기 불교의 숙명론 초기 불교의 숙명론 숙명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숙명론이라는 것은 우리의 인생이 정해진 운명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생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숙명론은 사실 고대 인도에서도 굉장히 유행했지만 오늘날에 있어서까지 적지 않은 영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 불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불교를 숙명론과 연결시켜서 생각하는 경향마저 없지 않습니다. 예컨대 불교에 대한 초보적인 수준의 오해로 '뿌린 대로 거둔다. '는 말과 무슨 일이 잘 되지 않았을 때 '전생의 업보다'와 같은 표현들을 쓰곤 합니다. 여기에서 '불교적 가르침이 숙명론과 굉장히 유사하다. '라는 그릇된 시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불교는 숙명론과 분명히 구분이 되어야 합니다. 불교와 숙명론의 구분 불교에서 궁극의 목적으로 제시하..
초기불교와 철학의 구분 초기불교와 철학의 구분 불교와 철학에 대해서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불교를 철학으로 이해합니다. 또한 많은 연구자들이 불교를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불교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는 어떻게 보면 불교를 좀 더 공정하게 객관적으로 바라보려고 하는 하나의 시도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불교가 철학의 일종으로 해석될 여지 또한 적지 않습니다. 붓다는 어느 종교가들보다도 철학적으로 뛰어난 면모를 보였고 또한 당시 유행했던 여러 사상적 경향들을 두루 섭렵했다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의 가르침은 합리적인 사고의 토대 위에서 제시되었고 경험세계에 대한 분석과 해명에 초점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런 사실들에 근거할 때 우리는 불교를 철학으로 보는 것들에 대해서도 얼..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앞까지 우리는 불교와 불교 이외의 가르침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불교의 가르침이 지니는 독자성 혹은 독특한 측면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제부터는 불교 교리 내부로 관심의 방향을 돌려서 '붓다가 이야기한 기본적인 가르침이 무엇이었는가?'라는 바로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겠습니다. 붓다가 가르친 가르침 중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눈을 돌리게 되는 가르침의 하나가 무상(無常, anicca)의 가르침입니다. 무상이라는 것은 없을 무(無) 항상 할 상(常), 다시 말해서 '항상 하는 것이 없다', '항상 하지 않는다' 즉 변화의 가르침을 말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이 무상의 가르침은 모든 현상이 변화의 여정에 놓인다는 지극히 평..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의 가르침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의 가르침 무아의 가르침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무아(無我, anatta)라고 하는 것은 '내가 없다'라고 하는 가르침입니다. 바로 이 무아의 교설은 우리가 이렇게 당연히 존재해있지 않느냐라는 경험적 사실에 비추어볼 때 얼핏 좀 수긍하기 어려운 측면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게 오해의 빌미를 불러일으켰던 그러한 가르침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바로 이 무아의 가르침을 우리는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붓다가 우리에게 베풀고자 했던 핵심적인 메시지가 무엇이었던가 하는 부분을 심도 있게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됩니다. 오온의 가르침과 연계되는 무아 무아라고 하는 것은 항상 오온의 가르침과 연계되어 설명이 됩니다. 오온(五蘊)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경험세계..
초기불교의 전개와 범위 초기불교의 전개와 범위 일반적으로 초기불교의 범위는 붓다 즉, 역사적으로 2500년 전에 인도 땅에서 출현했던 붓다라는 인물과 그의 직제자들, 다시 말해서 그의 가르침을 듣고 그에 의해서 불교교단을 최초로 형성했던 직제자들에 의해서 주도된 불교를 '초기불교'라고 이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초기불교라고 하는 이름을 대신해서 그에 상응하는 여러 표현들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불교에 대해서 '근본불교'다 이렇게 부르는 분들이 있고, '원시불교'다 혹은 '소승불교'다 혹은 '상좌부 불교'다 혹은 '빨리어 불교'다 이렇게 다양한 초기불교에 대해서 부르는 명칭들이 있습니다. 그들 하나하나의 명칭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초기불교의 명칭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명칭인데요 근본불교라는..